서예방/내 작품 197

춘향전(春香傳) 백미(白眉)

춘향전(春香傳) 백미(白眉)金樽美酒千人血, 금준미주천인혈(금술잔의 좋은 술은 만백성의 피요),玉盤佳肴萬姓膏, 옥반가효만성고(옥쟁반의 맛좋은 안주는 만백성의 기름이라).燭淚落時民淚落, 촉루락시민루락(촛물/촛농 흐를 때 백성의 눈물이 떨어지고),歌聲高處怨聲高, 가성고처원성고(노래 소리 높은 곳에 백성의 원망소리 높도다). 한국의 대표 고전 춘향전>에서 등장하는 한시(漢詩)다. 과거에 급제해 암행어사가 된 이몽룡(李夢龍)[춘향전 백미 이몽룡(李夢龍)과 성춘향(成春香)]이 고향 남원에서 변 사또의 잔치상 앞에서 이 시를 읊었다. 이 장면은 부패한 탐관오리를 응징하는 한국 고전의 전형인 권선징악의 한 예를 절절히 보여주는, 춘향전>의 백미로 꼽힌다.

迂直之計(우직지계)-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迂直之計(우직지계)迂-멀 우          直-곧을 직 之-갈 지          計-꾀 계 ☢가까운 길을 곧바로만 가는 것이 아니라 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 *출전-孫子 軍爭篇 -가까운 길을 곧게만 가는 것이 아니라,돌아갈 줄도 알아야 한다는 병법의 지혜로 손자(孫子) 군쟁편(軍爭篇)에 나오는 이야기춘추전국시대 제나라의 유명한 정치가 안영이 제나라 왕,경공을 모실 때의 일입니다.어느 날 왕이 사냥을 나갔는데 사냥 지기가 자신의 임무를 다하지 못하고 부주의로 왕이 사냥한 사냥감을 잃어버렸습니다.왕은 화가 머리끝까지 나서그 자리에서 사냥지기의 목을 베라고 명령하였습니다.같이 사냥을 나갔던 주변의 신하들은 모두 어찌할 바를 모르고 바라보고만 있었습니다.이때 안영은 경공에게 직접 충고하지 않고 우회하는 전술..

席間函丈(석간함장)-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席間函丈(석간함장)席 자리 석,    間 사이 간,    函 함 함,    丈 길이 장 **스승과 한 키 정도 떨어져 앉아야 한다는 내용으로 스승에 대한 존경’을 뜻함. **스승의 날교권 존중과 스승 공경의 사회적 풍토를 조성하여 교원의 사기 진작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위하여 지정된 날.  “스승의 은혜는 하늘 같아서 우러러 볼수록 높아만 지네~.”‘스승의 날’ 노랫말은 허투루 지어진 게 아니다. 지덕체(智德體)를 전승,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스승의 은혜가 귀하기 때문이다. 스승을 일컫는 한자 스승 사(師)는 ‘언덕 부’와 ‘두를 잡’이 합쳐진 글자다. 스승이란 언덕처럼 높고 귀한 존재라는 뜻이다. 중국 당송팔대가의 한 명으로서 문학가 겸 사상가였던 한유는 “스승이란 진리를 전하고 학문을 가르치며 의..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一切唯心造(일체유심조)一 한 일 切-온통 체唯-오직 유 心-마음 심 造-지을 조 ☢모든 것은 오직 마음이 지어낸다는 뜻으로, 모든 일에 마음가짐이 중요함을 이르는 말. 🔸️ 원효스님께서 중국의 당나라에 유학을 갈 때 어느 동굴에서 잠을 자다가 목이 말라 어둠 속에서 물을 마셨는데,다음 날 깨어보니 자신이 마신 물 그릇이 시체가 썩어있는 사람의 해골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전날 밤 그렇게 맛있게 먹었던 그 물이 다음 날 일어나서 보니 속이 울렁거리고 구역질이 나는 그런 물이었다는 사실을 알았습니다. 그래서 원효스님은 세상의 모든 것은 그 대상에 있는 것이 아니라,마음을 어떻게 먹느냐에 따라서 변화될 수 있는 것이라고 깨달았다는 이야기입니다.그러면 원효스님께서 유학을 갈 때도중에서 깨달은 내용은 다음..

惜時如金(석시여금)

惜時如金(석시여금) 惜-아낄 석 時-때 시 如-같을 여 金-쇠 금 ‘시간을 금과 같이 아끼라’는 뜻입니다. - 시간은 남에게 빌려줄 수도 없고 빌려 쓸 수도 없습니다. 돈으로 살 수도 없고 팔 수도 없습니다. 누구에게나 똑같이 스물 네 시간이 주어집니다. 주어진 시간을 얼마나 효율적으로 내 것으로 만드느냐에 따라 인생의 성공이 달려있습니다. -한 번 가버린 시간은 영원히 돌아오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