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이 쿵쾅쿵쾅…설렘 아닌 위험 신호입니다
돌연사 부르는 ‘심실성 빈맥’ 주의를
어지럼증·호흡곤란 동반 ‘응급상황’

심장이 뛰는 박자가 불규칙해지는
부정맥 중에서도
대표적인 유형인 심실성 빈맥은
돌연사의 원인이 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심장이 갑자기 빠르게 뛰면서
덜덜 떨리는 듯한 느낌과 함께
어지럼증, 호흡곤란이 동반된다면
응급상황으로 이어질 위험이 높으므로
서둘러 진료를 받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심장의 아래쪽에 있는 심실은
위쪽 심방으로 들어온 혈액을 받아
온몸과 허파로 보내는 역할을 한다.
정상적인 심장박동은 심방에서 시작해
심실로 전달되는
전기신호에 따라 조절되지만,
심실성 빈맥은 심실 내에서
비정상적인 전기회로가 형성돼 발생한다.
심실이 지나치게 빠르게 수축하면서
혈액을 제대로 내보내지 못해
뇌를 비롯한 주요 장기에 혈액 공급이
부족해지는 상황을 부를 수 있다.
부정맥의 또 다른 대표적인 종류인
심방세동은
심방이 가늘게 떨리며
제대로 수축하지 못하는 증상을 보이지만
이를 알아채지 못하는 비율이 높다.
반면, 심실성 빈맥은
심장이 빠르게 뛰는 심계항진을 비롯해
숨이 가쁘고
가슴에 압박감을 느끼는 등의 증상을
알아차리기가 비교적 쉽다.
심실성 빈맥의 주요 원인으로는
심근경색 및 심근병증, 심장판막 질환,
선천성 심장 질환 등이 꼽힌다.
권창희 건국대병원 심장혈관내과 교수는
“심근경색으로 심장근육이 손상되거나,
심근병증, 판막 질환 등으로
심장근육이 비정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늘어나는 경우
심실성 빈맥 발생 위험이 높아진다”며
“또한 심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관상동맥 질환 역시
심장근육에 산소 공급 부족을 초래해
심실성 빈맥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심실성 빈맥은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급성 심실성 빈맥일 경우
항부정맥제를 투여해
심장박동을 정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심정지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은
불안정한 심실성 빈맥이라면
제세동기로 심장에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박동을 정상화한다.
심장박동에 문제가 생겨
실신을 경험했거나
허혈성 심근경색 등의 질환 때문에
심장 기능이 떨어진 환자라면
재발을 막기 위해 심장에
삽입형 제세동기를 넣는 치료를
시행한다.
심실성 빈맥은
돌연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지만
조기에 발견하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약물 치료나 제세동기 삽입 치료 후에도
심실성 빈맥이 재발하는 경우엔
그 원인이 되는
심실 내 비정상적인 전기회로를
고주파 에너지로 제거하는
고주파 전극 도자 절제술을
시행할 수도 있다.
권창희 교수는
“고령 환자에게도 전극 도자 절제술을 시행해
환자가 반복되는 제세동기 쇼크에서
벗어난 사례도 있었다”며
“심근경색, 심근병증, 관상동맥 질환 등
심실성 빈맥의 원인이 되는
기저질환을 치료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김태훈 기자 anarq@kyunghyang.com
'건강이 최고의 재산 > 건강 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변이 알려주는 내 몸의 건강 현주소 (0) | 2025.03.16 |
---|---|
부러지고 찢어지고…소중한 무릎, 잘 지키려면? (0) | 2025.03.15 |
심혈관계 강화하려면, 찬물vs따뜻한 물 중 어디에 몸 담가야 할까? (0) | 2025.03.15 |
계단 오르기 '이렇게' 하세요 (0) | 2025.03.15 |
"제아무리 착한 전립선암이라도 위험할 땐…"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