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방/내 작품 231

臨渴掘井(임갈굴정)-행서와 예서

臨渴掘井(임갈굴정) 臨-임할 림(임) 渴-목마를 갈掘-팔 굴 井-우물 정 ⎈목이 말라야 우물을 판다는 뜻으로,평소에 준비 없이 있다가 일을 당하여 허둥지둥 서두름을 이르는 말.간절한 만큼 꼭 이루어집니다.한 마리의 여우가 토끼를 쫓고 있었습니다.하지만 그 여우는 토끼를 잡을 수 없었습니다."왜일까요?"여우는 한 끼의 식사를 위해 뛰었지만,토끼는 살기 위해 뛰었기 때문입니다."이것이 바로 간절함의 차이입니다."간절함은 성공의 씨앗입니다.간절함이 주는 힘은 실로 대단합니다.간절함은 몸과 마음이 하나 되는 몰입의 상태를 말합니다.'세상의 모든 일은 간절한 만큼이루어진다'라는 평범한 진리가 담겨 있습니다.나만의 독창적인 상상력과 창의성을 얻기 위하여어떻게 해야 할까요?간절함은 모든 것의 근원입니다.간절함은 없던..

門前雀羅(문전작라)-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門前雀羅(문전작라) 문 문(門/0) 앞 전(刂/7) 참새 작(隹/3) 벌릴 라(网/14)직역-문앞에 참새 그물을 치다의역- 방문객의 발길이 끊어지다. *권력이나 인기가 사라지면 주변에 사람이 끊어지는 상황 *인간 관계를 어떻게 맺어야 하는 지에 대한 중요한 메시지 권력이나 부를 얻은 사람의 주위에는 사람이 모여들기 마련이다. 시장에 사람이 몰리는 門前成市(문전성시)는 괜찮지만 세력가의 집에 뇌물을 바치기 위해 복작대면 한심하다. 잘못을 지적하기 위해 사람이 몰리는 門庭若市(문정약시)는 바람직하기까지 하다.‘대감 죽은 데는 안 가도 대감 말 죽은 데는 간다’는 속담이 있다. 대감이 죽으면 잘 보일 필요가 없지만 말이 죽었을 때는 환심을 살 필요가 있어 조문을 한다는 炎凉世態(염량세태)를 꼬..

逆來順受(역래순수)- 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逆來順受(역래순수)逆-거스를 역 來-올 래順-ㅡ순할 순 受-받을 수⎈뜻대로 안 되는 상황이 닥쳐도 순순히 받아들인다 -일이 안 풀려도 남을 원망하지 않는다 -菜根譚 句우리 속담에 ‘잘되면 자기 덕, 못되면 조상탓’이라는 말이 있다. 무슨 일이 잘 되면 자기가 잘해서 잘되는 줄 알고,부모 형제나 주변 사람들에게 고마워할 줄 모르는 경우가 많다.그러나 잘 안 될 경우에 자기에게서 문제를 찾아 고치려는 사람이 없지 않지만, 상당수 사람들이 부모를 비롯한 주변 사람들을 원망한다. 자신을 성찰하고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가려고 노력해야지,원망하기 시작하면 끝이 없다.자기가 태어난 집안,가난하고 무식한 부모, 출신 지역,출신 학교 등등, 심지어 출신 학교 선생들까지도 원망한다.그러나 좋은..

忍之爲德(인지위덕)-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忍之爲德(인지위덕)忍-참을 인:참다, 견디다之-갈 지:그것을爲-할 위:~삼다德-큰 덕:도덕, 인격, 인의의 덕목을 의미⎈참는 것을 덕으로 삼아라 -참는 마음,인내의 태도야 말로 가장 기본적이고 중요한 덕목이라고 보는 말 -이는 공자의 인간관과 덕치(德治)사상에서 매우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교훈이다. 옛날 어느 마을에 여우가 살았다.여우는 근처 농부 집에 몰래 들어가 닭을 물어갔다.농부는 "오죽 배가 고팠으면 그러랴" 생각하고 참기로 했다.이튿날 또 여우가 나타나 이번에는 오리를 훔처갔다.농부는 한번 더 참기로 했다.얼마 후 여우가 또 찾아와서 닭을 물어가자농부는 화가 나서 덫을 놓고 마침내 여우를 잡았습니다.농부는 그냥 죽이는것이 분이 풀리지 않아여우 꼬리에 짚을 묶어 불을 붙였습니다.여우는 고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