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방/내 작품 212

富潤屋 德潤身(부윤옥 덕윤신)-행서,예서

富潤屋 德潤身(부윤옥 덕윤신) 富는 집을 풍요롭게 하고 德은 자신을 풍요롭게 한다. -내면이 충실하면 자연 외면에 나타나게 된 다. -경제적으로 윤택한 사람이 살고 있는 집은 훌륭하고 덕이 단단히 몸이 밴 사람은 행동 거지도 훌륭해진다는 말.​넉넉한 재산이 있으면 그 집안이 윤택해져 가족들이 행복한 인생을 살게 되고 따뜻한 덕이 있으면 인생이 윤택해져 주변 사람들과 원만한 관계를 이어나갈 수 있습니다. 돈과 인덕으로 집안과 인생이 넉넉해지면 마음이 넓어지고 몸은 편안해집니다. 이런 결과를 心廣體胖(심광체반)이라 합니다. 마음 심자에 넓을 광자, 몸 체자에 편안할 반자, 心廣體胖 마음이 넓어지고 몸이 편안하고 여유가 생긴다는 뜻입니다. 열심히 노력하여 돈을 벌어 내 집안을 윤택하게 하고 인덕을 베풀고 ..

虛張聲勢(허장성세)-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虛張聲勢(허장성세) 虛-빌 허 張-베풀 장聲-소리 성 勢-형세 세 실력이나 실속은 없으면서 허세만 부림-뭔가 있어 보이는 척 하지만 속은 텅비고 겉만 번지르르한 모습-속은 비었지만 겉으로는 큰 소리치며 위세를 부리는 것을 뜻함 (속빈 강정=빛 좋은 개살구)-기업의 과장 광고,정치인들의 허황된 공약 SNS에서의 과장된 자기 포장

斅學半(효학반)-행서, 예서

斅學半(효학반)斅가-르칠 효    學-배울 학     半-반 반 ⁂ 가르치는 것이 배움의 반 -가르치는 것이 곧 배우는 것이다. -敎學相長(교학상장)과 맥을 같이 하는 말교육은 지식과 기술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인격을 길러주는 것이 우선이다.孟子(맹자)는 군자의 三樂(삼락) 중에 "천하의 뛰어난 인재들을 구해 가르치는 것(得天下英才而教育之/득천하영재이교육지)"을 포함시킬 정도로 중요시했다. 盡心(진심) 상편에서다.사람은 남을 가르치는 가운데 배운다. 그래서 가르치는 것이 두 번 배우는 것이란 말까지 나왔다. 敎學相長(교학상장)에서 나온 것처럼 가르치는 일이나 배우는 일 모두 서로에게 도움을 줘 발전하게 된다는 것이다."배우지 않으면 도를 모른다(人不學 不知道/인불학 부지도)"고 하여 사람 구실을하는데 ..

聲東擊西(성동격서)-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聲東擊西(성동격서) 聲-소리 성             東-동녘 동擊-칠 격                 西-서녘 서 ⁂동쪽에서 소리를 내고 서쪽에서 적을친다는 뜻으로, 동쪽을 쳐들어가는 듯하면서 적을 교란시켜서 실제로는 서쪽을공격하는 것을 이르는 말  -의도적으로 상대방을 속이거나 주의를 분산시켜 목표를 달성하는 전술을 나타 내는 것을 뜻함  -성동격서는 단순히 속임수를 넘어, 상대방의 심리를 읽고 그 허점을 이용하는 전략을 강조한다. -이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상대방의 주의를 분산시키거나 혼란을 유도하는 기술을 포함한다.-이 성어는 전투에서뿐만 아니라 일상적인 협상, 비즈니스, 정치 등의 상황에서도 적용된다. -상대방의 기대와 다른 행동을 취함으로써 의도한 결과를 얻는 것이 핵심이다. -성동격서는 정..

門墻桃李(문장도리)-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門墻桃李(문장도리) 門 : 문 문                       墻 : 담장 장桃 : 복숭아나무 도       李 : 오얏나무 리(이) #문장(門墻)은 가르침을 받으려고 스승의 집에 드나드는 스승의 #문하(門下)를 말하며, ​​#도리(桃李)는 학문을 가르친 스승이 길러낸 우수한 제자를 가리킨다.  ⁂ 스승이 길러낸 우수한 제자(弟子)나 그의 문하생(門下生)을 이르는 말. 유의어>桃李門前(도리문전) 桃李滿門(도리만문) 滿門桃李(만문도리) 桃李滿天下(도리만천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