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 끊으면 나타나는 금단 증상 5

한국인은 1년 동안 평균 353잔의 커피를 마신다.
매일 한 잔 꼴인데
세계 평균 132잔의 2.7배에 달한다.
현대경제연구원의 2018년 추정치다.
아침에 깨자마자 마시는 개인의 루틴이거나,
사람들을 만날 때 마시는
사교 혹은 비즈니스의 수단이기도 하다.
커피는 심혈관 건강에 좋은 음료로 알려져 있지만,
위염, 식도염, 과민성 대장 증상을 악화할 수 있다.
소화기 점막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불면증이 있는 사람도 절제하는 게 좋다.
카페인의 각성 작용 탓이다.
커피를 매일 마시다 보면 인이 박인다.
안 마시면 허전한 걸 넘어
활력과 집중력이 떨어지는 느낌까지 든다.
카페인 금단증상이다.
미국 건강 매체 '프리벤션'이
금단증상과 대처법을 정리했다.
◆ 불면증
믿기 힘들지만 커피를 끊었을 때
나타나는 가장 일반적인
금단증상 중 하나다.
특별한 조치가 필요하진 않다.
1~2주 정도면
다시 정상적인 수면 리듬으로
돌아가는 게 일반적이다.
◆ 변비
카페인은 장이 움직이도록 자극한다.
갑자기 끊으면 변비가 생길 수 있다.
배변 리듬을 되찾을 수 있도록
물을 많이 마시고
섬유질이 풍부한 채소를
섭취해야 한다.
◆ 두통
카페인은 뇌혈관에 영향을 미친다.
매일 꾸준하게 공급되던
카페인이 끊기면
두통이 나타날 수 있다.
통합의학을 전공한 돈 레이든 박사는
"항염증 효과가 있는 강황 보충제 등이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조언했다.
◆ 손떨림
커피를 끊으면
손떨림이 나타나는 사람도 있다.
다행히 카페인 금단증상으로
손떨림을 애써 치료할 필요는 없다.
며칠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 구역질
커피를 끊었을 때 나타나는
당혹스러운 금단증상이다.
카페인이 위와 장에 미치던
영향이 사라지면서
소화 시스템에 나타나는
일종의 혼란이다.
생강차를 마시면 위를 진정시켜
구역질을 누그러뜨릴 수 있다.
이용재 기자 (youngchaeyi@kormedi.com)

'건강이 최고의 재산 > 음식과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수화물 많이 먹었더니...고지혈증에 최악의 식습관은? (0) | 2025.03.22 |
---|---|
혈관 관리, 신호 올 때 해야...좋은 vs 나쁜 음식 (0) | 2025.03.21 |
퇴행성관절염 다스리는 식퇴행성관절염 다스리는 식품과 운동품과 운동 (0) | 2025.03.20 |
전립선 건강과 최상의 면역을 위한 올바른 물 마시는 방법 (0) | 2025.03.17 |
관절 통증을 완화하는 최고의 음식은?…전문가들이 말한 바로 ‘이것’ (0) | 202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