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방/사자성어

愚公移山(우공이산)

한실25시 2022. 3. 19. 18:26

 愚公移山(우공이산) 

어리석을 우      귀인 공     옮길 이      .

 

풀이

우공이라는 사람이 산을 옮기듯이 난관을 두려워하지 않고 굳센 의지를 가지고 노력한다면 결국 성공할 수 있다는 말.

 

유래 및 용례

  어리석은 영감이 산을 옮겨 놓는다는 말로 남 보기에는 미련한 것같이 보이지만, 한 가지 일을 계속 물고 늘어지면 언젠가는 목적을 달성하게 된다는 비유이다. 列子(열자)湯問篇(탕문편)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太行山(태항산)은 사방 둘레가 7백 리나 되고, 높이가 만 길이나 되는데, 원래는 冀州(기주) 남쪽, 河陽(하양) 북쪽에 있었다. 그런데 北山(북산)愚公(우공)이라는 사람이 나이는 벌써 아흔이 가까운데, 이 두 산을 앞에 놓고 살고 있었기 때문에 산 북쪽이 길을 막고 있어 드나들 때마다 멀리 돌아서 다녀야만 했다. 영감은 그것이 몹시 불편하게 생각되어 가족들과 상의하여 산을 옮기기로 했다. “나는 너희들과 함께 힘을 다해 높은 산을 평평하게 만들고 豫州(예주) 남쪽으로 길을 내 한수 남쪽까지 갈 수 있게 할까 하는데 너희들 생각은 어떠냐?” 모두가 찬성을 했다.

]

]  그러나 우공의 아내만은 이렇게 반대를 했다. “당신 힘으로는 작은 언덕도 허물 수가 없을 텐데, 그런 큰 산을 어떻게 한단 말입니까. 그리고 허물어 낸 흙과 돌을 어디로 치운단 말입니까?” “勃海(발해) 구석이나 隱土(은토) 북쪽에라도 버리면 되겠지요, 모두 이렇게 우공을 두둔하고 나섰다. 그래서 우공은 아들 손자들을 거느리고 산을 허물기 시작했다. 짐을 지는 사람은 세 사람, 돌을 깨고 흙을 파서 그것을 삼태기와 거적에 담아 발해로 운반했다. 우공의 이웃에 사는 京城氏(경성씨) 집 과부에게 이제 겨우 칠팔 세 되는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이 아이가 또 열심히 우공의 산 파는 일을 도왔다.

 

  그러나 일 년에 두 차례 겨우 흙과 돌을 버리고 돌아오는 정도였다. 그러자 河曲(하곡)에 있는 智叟(지수)라는 영감이 이 광경을 보고 웃으며 이렇게 말렸다. “이 사람아, 어쩌면 그렇게도 어리석은가. 다 죽어 가는 자네 힘으로는 풀 한 포기도 제대로 뜯지 못할 터인데 그 흙과 돌을 어떻게 할 작정인가?” 그러자 우공은 한숨을 내쉬며 말했다. “자네의 그 좁은 소견에는 정말 놀라지 않을 수 없네. 자네는 저 과부의 어린아이 지혜만도 못하지 않은가. 내가 죽더라도 자식이 있지 않은가. 그 자식에 손자가 또 생기고 그 손자에 또 자식이 생기지 않겠는가.

 

]  이렇게 사람은 자자손손 대를 이어 한이 없지만 산은 불어나는 일이 없지 않은가. 그러니 언젠가는 평평해질 날이 있지 않겠나?” 지수는 말문이 막혀 잠자코 있었다. 두 손에 뱀을 들고 있다는 산신령이 이 말을 듣자 산을 허무는 인간의 노력이 끝없이 계속될까 겁이 났다.

 

  그래서 옥황상제에게 이를 말려 주도록 호소했다. 그러나 옥황상제는 우공의 정성에 감동하여 힘이 세기로 유명한 夸娥氏(과아씨)의 아들을 시켜 두 산을 들어 옮겨, 하나는 朔東(삭동)에 두고 하나는 雍南(옹남)에 두게 했다. 이리하여 기주 남쪽에서 한수 남쪽에 이르기까지는 산이 없게 되었다. 쉬지 않고 꾸준히 노력해서 성공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그리스로마 신화 중 피그말리온 이야기가 이와 유사한 면이 있다.

 

 

 

'서예방 > 사자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被褐懷玉(피갈회옥)  (0) 2022.03.27
隱惡揚善(은악양선)  (0) 2022.03.23
掩耳盜鐘(엄이도종)  (0) 2022.03.19
霜松常淸(상송상청)  (0) 2022.03.19
嘉祚日延(가조일연)  (0) 2022.03.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