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이 최고의 재산/건강 상식

“혈관이 늙으면 사람도 늙는다”… 혈관 노화, 어떻게 막을까?

한실25시 2025. 5. 3. 20:22

“혈관이 늙으면 사람도 늙는다”… 혈관 노화, 어떻게 막을까?

몸속 노화 재촉하는 ‘죽상경화증’의 경고


나이가 들수록 겉으로 드러나는 노화보다 더 무서운 것은 '속에서부터 진행되는 노화'다. 그 중심에 혈관이 있다. 사람의 온몸을 순환하는 혈관은 심장, 뇌, 신장, 말초조직에 이르기까지 산소와 영양을 공급하는 통로이자, 몸의 기능을 지탱하는 생명선이다.


그러나 이 혈관이 콜레스테롤과 염증세포 등에 의해 서서히 좁아지고 탄력을 잃게 되면, 몸 곳곳에 치명적인 결과를 낳는다. 부산 봉생기념병원 내분비내과 손성표 진료부장은 "혈관 노화는 단순한 생리적 변화를 뛰어넘어 심장·뇌·신장 등 전신 장기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 신호"라며 "노화를 늦추고 건강 수명을 지키기 위해선 혈관 상태를 먼저 들여다봐야 한다"고 했다.


그런 혈관 노화를 대표하는 것들 중의 하나가 바로 '죽상경화증'(粥狀硬化症, atherosclerosis). 혈관 내벽에 죽처럼 끈적끈적한 죽종(atheroma, 죽상경화반)이 들러붙어 혈관이 좁아지고, 혈관벽까지 딱딱하게 굳어가는 것이다.


동맥 혈관벽 안에 칼슘이 침착되면서 동맥 근육이 탄력을 잃는 현상도 비슷하게 진행된다. 그런 동맥경화증과 아울러 '죽상동맥경화증'이라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혈관이 좁아지면 혈관 압력도 높아지기 마련이다. 그렇게 높아진 압력 때문 죽종을 싸고 있던 섬유조직이 파열돼 혈전(血栓)이 혈관을 막으면 그때부턴 더 심각해진다.


죽상경화증이 어느쪽 혈관에 생겼느냐에 따라 병도 달라진다. 심장 관상동맥이 막히면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으로 이어지고, 뇌혈관이 막히면 뇌경색이 발생한다. 신장 동맥이 좁아지면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고, 다리쪽 말초혈관이 막힐 경우에는 걸을 때마다 다리가 저리고 통증이 온다. 심해지면 발과 다리 피부색이 검게 변하며 결국 썩어 들어가는 괴사(壞死)까지 온다.


혈관이 막혀서 생긴, 이런 허혈성(虛血性) 질환들은 암, 뇌졸중과 더불어 3대 사망 원인으로 꼽힌다. 우리나라의 경우, 노령인구가 빠르고 늘고 있어 허혈성 질환의 위험성도 함께 커지는 추세다.
협심증, 심근경색, 뇌경색, 고혈압의 원인…거기다 몸 썩는 '괴사'까지한번 막히기 시작한 혈관은 정상 상태로 되돌리기 어렵다. "비(非)가역적"이란 얘기다.


더 큰 문제는 이게 상당히 진행될 때까지 별다른 자각 증상이 없다는 것. 많은 환자들이 뒤늦게 병원을 찾지만, 이미 혈관의 상당 부분이 좁아져 있는 경우가 적지 않은 것은 그래서다.


하지만 조기 치료로 진행을 늦출 수는 있다. 가장 기본적이고 유용한 검사는 경동맥(頸動脈, 목을 지나는 동맥) 초음파. 비교적 간단하게 혈관 내 경화반의 유무와 내막-중막 두께를 확인할 수 있어, 심뇌혈관 질환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데 두루 활용된다.


심장 쪽이 의심될 땐 운동부하 심전도나 심장 핵의학 검사, 관상동맥 조영 CT 등이 필요하다. 더 정밀한 진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심혈관조영술 같은 침습적 검사도 동원된다.


치료는 약물요법과 시술적 치료로 나뉜다. 약물요법으로는 동맥경화 진행을 늦추고 혈전을 예방하는 지질강하제(스타틴)와 아스피린 등의 항혈전제가 대표적이다.


혈관이 심하게 좁아져 있는 경우에는 혈관 성형술이나 심혈관 중재시술(스텐트 삽입술) 같은 내과적 중재시술이 시행된다. 막힌 혈관 옆으로 새로운 혈류 통로를 만들어주는 '관상동맥 우회술'(CABG) 같은 외과적 수술이 필요할 때도 있다.


생활습관만 바꿔도 혈관 노화 늦춘다손성표 진료부장은 "죽상경화증의 근본적인 예방은 생활습관 개선에 달려 있다"고 했다. 혈관 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는 주당 150분 이상, 중등도 강도의 유산소 운동을 계속하고,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 복부비만 같은 위험 인자를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한다.
손성표 내분비내과 진료부장. [사진=봉생기념병원]


특히 금연은 필수다. 흡연이 혈관 내피세포를 손상시키고 염증 반응을 유발하기 때문. 여기에 포화지방이나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음식은 피하고, 신선한 채소, 과일, 견과류 등을 중심으로 한 식단이 권장된다.


한편, 심혈관 예방 차원에서 복용하는 저용량 아스피린은 반드시 전문의 판단 아래 결정해야 한다. 특히 소화기 출혈이나 뇌출혈 등 부작용 위험이 존재하기 때문에, 심혈관 고위험군이 아닌 일반인의 경우에는 예방 효과보다 위험이 더 클 수 있어서다.


"혈관은 조용히 늙고, 한순간에 터진다"는 말이 있다. 손 부장은 "혈관 건강은 눈에 보이지 않지만, 전신 건강과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요소"라며 "특히 중년 이후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함께 적절한 치료가 혈관 노화 속도를 늦출 수 있게 돕는다"고 했다.

 

윤성철 기자 (syoon@kormedi.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