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렇게 하면 24% 더 오래 삽니다”…‘이 습관’ 뭐길래?
암 생존자, 생활습관 개선시 사망 위험 24%↓
식단서 채소, 콩류, 과일, 통곡물 섭취 늘려야
붉은 육류, 당 첨가 음료, 초가공식품 줄여야
음주 불가피한 경우 하루 한 두 잔 이하로만
암 생존자들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하면
사망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암학회(ACS)의 식이요법,
신체활동 가이드라인을 충실히 따르면
암 생존자의 전체 사망 위험이
최대 24%까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암학회 역학연구를 이끄는 잉 왕(Ying Wang) 박사 연구팀은 7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미 국립암연구소 저널(JNCI)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팀은 비흡연자이면서 비만 관련 암을 진단받은 생존자 3700여명을 대상으로 평균 15년 이상 추적 관찰했다.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는 1992년부터 2002년까지 비만 관련 암 진단을 받은 3742명(평균 연령 67.6세)으로, 이들의 생활습관이 미국암학회의 권고 지침을 얼마나 잘 따르고 있는지를 0~8점의 점수로 평가했다. 그 결과,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총 2340명이 사망했다.
미국암학회는 2022년 암 생존자를 위한 건강 지침으로 △비만 예방 △규칙적인 신체활동 △균형 잡힌 식단 섭취 △알코올 섭취 제한 등을 제시했다. 구체적으로는 건강 체중 유지, 주당 150~300분의 중강도 운동 또는 75~150분의 고강도 운동을 권장하고 있다.
식단에서는 녹색·빨간색·주황색 채소, 콩류, 과일, 통곡물 섭취를 늘릴 것을 권장한다. 붉은 육류와 가공육, 당이 첨가된 음료, 초가공식품은 줄일 것을 강조했다. 음주는 가급적 피하되 불가피한 경우 여성은 하루 한 잔, 남성은 두 잔 이하로 제한하도록 하고 있다.
연구 결과 가이드라인 준수 점수가 높은 그룹(6~8점)은 낮은 그룹(0~3점)보다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24% 낮았다. 특히 심혈관 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은 33%, 암 관련 사망 위험은 21% 각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체질량지수와 신체활동 점수가 높을수록 사망률이 낮았다. 암 진단 전후로 일관되게 높은 점수(5점 이상)를 유지한 생존자들이 가장 낮은 사망률을 보였다.

암 진단 이후 생활습관을 개선해 점수가 상승한 경우에도 사망률이 감소해 진단 시점 이후의 변화도 생존율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연구의 제1 저자이자 교신저자인 왕 박사는 “암 진단 이후 많은 환자들이 건강한 삶을 위한 방법을 모색한다”며 “이번 연구는 생활습관의 변화가 실제 생존율에 중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분명히 보여준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연구는 암 생존자들이 건강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경우 사망 위험이 현저히 감소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며 “암 치료 이후에도 꾸준한 식습관 개선과 신체활동 유지는 생존자 건강에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암 생존자 위한 건강한 생활습관 체크리스트✔균형 잡힌 식단 : 과일, 채소, 단백질 포함한 식사✔규칙적인 운동 : 주 150분 이상의 중간 강도 운동✔금연, 음주 제한 : 담배 멀리하고 음주 최소화하기✔스트레스 관리 : 깊은 심호흡 등 해소 방법 실천✔충분한 수면 : 매일 7~8시간 양질의 수면 취하기
김현주 기자 hjk@segye.com
'중요한 건강 및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인 사망원인 1위, 암 예방하려면? (0) | 2025.04.11 |
---|---|
“바쁜 아침에 언제 밥을?”… 아침밥 걸렀더니, 충격적인 변화가? (0) | 2025.04.10 |
‘건망증’과 ‘치매’는 무엇이 다를까? (0) | 2025.04.09 |
전 세계 장수 도시 분석하니, 식사 때 ‘세 가지’ 원칙 있어 (0) | 2025.04.08 |
바나나의 건강(健康)을 위한 효능(效能) 10가지 (0) | 2025.04.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