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공부 자료/우리말 물주어 가꾸기 42

지름길과 에움길

길과 관계된 우리 말 지름길과 에움길 기본 뜻 지름길:가장 가까운 방향으로 질러가는 길. 에움길:빙 둘러서 가는 길이나 우회로. 지름길은 길 중에서 가장 곧은길입니다. 또 '성공의 지름길'처럼 가장 쉽고 빠른 방법을 빗대어 이르기도 하지요. 에움길은 에워싸고 돌아가는 굽은 길입니다. '에우다'는 '둘레를 빙 둘러싸다.'는 뜻이니까요. 지름길은 질러가서 가까운 길이고, 에움길은 에둘러 가서 먼 길 입니다. 하지만 지름길이 늘 가깝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 "지름길이 종종길이다."라는 속담이 있지요. 많은 사람들이 차를 몰고 지름길로만 가려다 보면 길이 막혀서 오히려 늦은 길이 되어 버립니다. 활용법 서술형 오늘은 늦잠을 잤다. 학교에 지각하지 않으려고 학교 샛문으로 통하는지름길로 뛰었다. 그러다가 넘어져서 ..

일본어 잔재

☢ 일본어 잔재 가. 순 일본말 다음은 순 일본말이지만 알면서도 쓰고, 또 모르고 쓰는 것 들이다. 1. 가께우동(かけうどん) -> 가락국수 2. 곤색(紺色, こんいろ) -> 진남색. 감청색 3. 기스(きず) -> 흠, 상처 4. 노가다(どかた) -> 노동자. 막노동꾼 5. 다대기(たたき) -> 다진 양념 6. 단도리(だんどり) -> 준비, 단속 7. 단스(たんす) -> 서랍장, 옷장 8. 데모도(てもと) -> 허드레 일꾼, 조수 9. 뗑깡(てんかん) -> 생떼, 행패. 억지 10. 뗑뗑이가라(てんてんがら) -> 점박이 무늬, 물방울무늬 11. 똔똔(とんとん) -> 득실 없음, 본전 12. 마호병(まほうびん) -> 보온병 13. 멕기(めっき) -> 도금 14. 모찌(もち) -> 찹쌀떡 15. 분빠이(ぶん..

비의 종류

비의 종류​ *안개비 - 빗줄기가 아주 가는 비 *이슬비 - 아주 가늘게 오는 비. 보슬비라고도 함. *억수비 - 물을 퍼붓듯이 세차게 내리는 비 *장대비 - 굵은 빗발의 비가 쉴 새 없이 세차게 내리는 비 *큰비 - 내리는 양이 한꺼번에 많이 쏟아지는 비 *작달비 - 굵직하고 거세게 퍼붓는 비 *모다깃 비 - 뭇매를 치듯이 내리는 비 *가루비 - 가루처럼 포슬포슬 내리는 비 *가랑비 - 보슬비와 이슬비 *채찍비 - 굵고 세차게 내리는 비 ​*여우비 - 맑은 날에 잠깐 뿌리는 비 *보름치 - 음력 보름께 비나 눈이 오는 날씨 *그믐치 - 음력 그믐께에 비나 눈이 오는 날씨 *늦은비 - 철 늦게 내리는 비 *이른비 - 철 이르게 내리는 비 *도둑비 - 예기치 않게 밤에 몰래 살짝 내리는 비 *단비 - 꼭 ..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1)

그래서 이런 말이 생겼대요(1) ☻ 흔히들 일이 제대로 풀리지 않았을 때 ‘말짱 도루목이다’라는 말을 쓰는 데 이 말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 선조 임금님 때 임진왜란이 일어났습니다. 우리나라 군사들은 칼과 창을 들고 최선을 다해 싸웠지만 불을 내뿜는 신식 무기 조총으로 무장한 일본군과 맞서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 어쩔 수 없이 피난길에 오른 임금님 일행은 걱정이 한 두 가지가 아니었습니다. 그 가운데에도 먹을거리를 마련하는 일이 가장 큰 걱정이었습니다. 그러던 어느 날, 한 사람이 생선꾸러미를 들고 찾아왔습니다. “상감마마께옵서 이런 걸 드실지 모르겠습니다만…….” 음식을 준비한 나인은 생선을 요리해서 임금님께 올렸습니다. 오랜만에 생선을 맛본 선조 임금님은 그 담백한 맛에 아주 만족했습니다. 임금님은..

우리말과 글

우리말과 글 일본식 발음 교정 틀린발음 영어 바른 발음 비고 화이팅 Fighting 파이팅 F(에후) 호일 Foil 포일 훼밀리 Family 페밀리 휀스 Fence 펜스 울타리 후라이 팬 Fry pan 프라이 팬 (계란) 후라이 Fry 프라이 (도레미)화 Fa 파 화일 File 파일 후리 킥 Free kick 프리 킥 후리드로우 건축,기계 건축,기계,토목 부분 2053년 36년×3=108년 ※ 다음은 우리들이 많이 사용하는 일본어입니다. 우리 말로 바꿔 보세요. 1. 가라-( 가짜 ) 2. 곤색-( 감색 ) 3. 기스-( 흠 ) 4. 낑깡-( 금귤 ) 5. 소데나시-( 민소매 ) 6. 다대기-( 다진양념 ) 7. 닭도리-( 닭볶음 ) 8. 데빵-( 우두머리 ) 9. 무대뽀-( 막무가내 ) 10. 와사비-..

일본식 한국말

일본식 한국말 ★고운 우리말 두루 널리 알리고,쓰도록 하십시다.★ 우리가 알면서도, 또 모르고 쓰고 있는 일본식 한국말 우리가 평소에 자주 쓰면서도 일제 강점기부터 쓰던 일본식 한국말이상당히 많이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순 일본말 다음은 순일본말이지만 알면서도 쓰고, 또 모르고 쓰는 것들이다. 1. 가께우동(かけうどん) -> 가락국수 2. 곤색(紺色, こんいろ) -> 진남색. 감청색 3. 기스(きず) -> 흠, 상처 4. 노가다(どかた) -> 노동자. 막노동꾼 5. 다대기(たたき) -> 다진 양념 6. 단도리(だんどり) -> 준비, 단속 7. 단스(たんす) -> 서랍장, 옷장 8. 데모도(てもと) -> 허드레 일꾼, 조수 9. 뗑깡(てんかん) -> 생떼, 행패. 억지 10. 뗑뗑이가라(てんてんがら) ..

발음 공부 150

발음 공부 150 이병희 국어방 자료 번호 낱말 발음 발음규칙 1 인류 일류 유음화 2 낟알 나달 연음 3 숲에 수페 연음 4 듯하나 드타나 축약 5 못하였소 모타엳쏘 축약, 대표음, 된소리 6 꿩덫이 꿩더치 연음 7 정확한 정화칸 축약 8 낯익은 낟이근 - 난니근 대표,비, ㄴ첨가 , 연음 9 입력 임녁 비음화, 비음화 10 수집한 수지판 축약 11 까닭이 까달기 연음 12 하룻밤 하룯빰 대표, 된소리 13 잃었던 이럳떤 묵음,연음, 대표, 된소리 14 못했다 모탣따 축약, 대표, 된소리 15 전래 절래 유음화 16 곳곳에서 곧꼬세서 대표, 된소리, 연음 17 꽃은 꼬츤 연음 18 갑갑한 갑까판 된소리.축약 19 밟고 밥꼬 묵음, 된소리 20 닭을 달글 연음 21 숲 숩 대표 22 육학년 유캉년 축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