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5

'요즘 왜 단어가 생각 안 나지'.. 술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요즘 왜 단어가 생각 안 나지'.. 술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대표적인 알코올성 치매 전조 증상으로는블랙아웃, 성격변화, 기억장애 등이 있다./사진=게티이미지 뱅크 코로나19로 줄었던 술자리가 격리 해제로 슬슬 늘고 있다. 갑작스러운 잦은 과음으로 기억력이 떨어진 것 같다면 '알코올성 치매'의 전조 증상일 수 있다.알코올성 치매는 젊은 나이에서도 나타나며,진행 속도가 매우 빨라 주의해야 한다.방치했다가는짧은 기간에 노인성 치매로 발전할 수 있다. ◇영구적으로 뇌 변하는 알코올성 치매알코올성 치매는 과도한 음주로뇌에 영구적인 손상이 생기는 질환이다.회복이 불가능하다.술을 많이 마시면 알코올이 혈관을 타고 뇌로 들어간다. 초기에는 뇌 기능에만 이상이 생기지만,과음이 반복되면 뇌 구조에..

내일 아침 빵으로 때우려면… 혈당 덜 오르게 ‘이렇게’ 드세요

내일 아침 빵으로 때우려면… 혈당 덜 오르게 ‘이렇게’ 드세요입맛이 없고 바쁜 아침, 빵으로 간단하게 끼니를 해결하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인 빵은 정제 탄수화물이라 혈당지수가 높다. 혈당이 걱정된다면 호밀빵을 먹어보자.◇호밀·통밀식빵에 채소 곁들이기빵은 섭취 후 혈당을 빠르게 올긴다. 가급적 빵 대신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게 좋다. 그게 어렵다면 같은 빵이라 하더라도 우유식빵 보다는 호밀빵이나 통밀식빵 같이 정제가 덜 된 것으로 먹는 게 좋다.빵과 함께 채소를 곁들이는 것도 식후 혈당 상승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를 먼저 먹으면 혈당이 급격하게 올라가는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채소를 먼저 먹으면 음식을 찾는 일이 줄어들기 때문에 식사량을 줄일 때도 도움이 된다. 게다가..

아침에 꼭 먹는 달걀...어떻게 먹어야 몸에 가장 좋을까?

아침에 꼭 먹는 달걀...어떻게 먹어야 몸에 가장 좋을까? 하루 달걀 1~2개는 OK...혈관 건강 위해 질 좋은 단백질 필요아침에 시간이 있으면 달걀에 양파, 방울토마토 등을 넣어 오믈렛을 만들어 먹는 것이 좋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달걀은 아침의 필수 식품이 된 느낌이다. 프라이 등 다양한 방식으로 먹는 사람들이 많다. 아침에 시간이 있으면 달걀에 양파, 방울토마토 등을 넣어 오믈렛을 만들어 먹는 게 좋다. 다이어트 중이라면 지방-열량이 적은 삶은 달걀이 권장된다. 아침 식단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하루 달걀 1~2개는 OK...혈관 건강 위해 질 좋은 단백질 필요달걀은 단백질만 많은 게 아니다. 몸의 신경세포를 보호하고 심장혈관에 나쁜 호모시스테인을 줄여주는 비타민 B12도 풍부하다. 몸의 산화(손..

치매를 예방하고 진행 늦추는 식사법은?

치매를 예방하고 진행 늦추는 식사법은?[강재헌 교수의 건강 제안] 강북삼성병원 가정의학과 교수급속한 고령화로 치매 환자가 빠르게 늘고 있다. 65세 이상 추정 치매 환자는 93만5,086명(2022년 기준)으로, 65세 이상 인구(901만545명)의 10.38%를 차지했다(대한치매학회). 유형별로는 알츠하이머병(노인성 치매·76.04%), 혈관성 치매(8.57%), 기타 치매(15.37%) 순이었다.치매는 특정 질환이라기보다 기억·사고·결정 능력에 문제가 생겨 일상생활에 장애가 발생하는 현상에 대한 일반적인 용어에 가깝다. 간혹 차 열쇠를 잃어버리거나 단어나 지인 이름이 기억나지 않는 것 같은 정상적 노화와 다른 질병이다.치매는 나이·가족력·머리 외상 등이 발병 위험을 높인다. 또한 교정할 수 있는 위험..

인생은 겸손을 배우는 긴 수업시간

인생은 겸손을 배우는 긴 수업시간 언 땅이 풀린다는 우수(雨水)가 지났다. 경기 파주 임진강변 반구정(伴鷗亭)에도봄빛이 완연하다. 이 정자는 조선 명재상 황희(黃喜·1363~1452)가86세에 관직에서 물러난 뒤 갈매기를벗 삼아 여생을 보낸 곳이다.이른 봄볕에 한가로이 쉬는갈매기들의 날개가 다소곳하다.깃털을 건드리는 바람결도 한결 부드럽다.황희는 세종 때 영의정 18년, 좌의정 5년,우의정 1년을 합쳐 24년간 정승을 지냈다.이렇게 장수할 수 있었던 것은뛰어난능력과 겸손의 덕을함께 갖췄기 때문이다.그는 나이가 들고 지위가 높아질수록 몸을 낮췄다.관노였던 장영실을 과학자로 관직에 올리고,노비의 아이가 수염을잡아당겨도마음 좋게 웃어 ‘허허 정승’이라는별명을 얻었다.딱 한 사람, 6진 개척과 여진족 정벌에앞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