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방/감성앱 작품 159

守口如甁 防意如城(수구여병 방의여성)-행서,예서

守口如甁 防意如城(수구여병 방의여성)守口如甁-입을 병마개 막듯이 꼭 막는다는 뜻으로 비밀을 다른 사람이 알지 못하도록 함을 이르는 말 防意如城-생각(私欲) 지키기를 성을 지키듯이 하라 ⇨말조심하라 ​守口如甁, 防意如城(수구여병, 방의여성)  저는 어렸을 때부터 ' '말이 씨가 된다''는 어른들 말씀을 들으며 자랐습니다.  중학 1학년 한문 시간에는 ''수구여병(守口如甁)''이라는 한자도 배우면서 선생님의 ''말조심'' 훈화도 들어 나름 입조심 한다고 조심했는데 제대로 지켜냈는지 확인은 못하고 삽니다.​  황창연 신부가 말하는말의 세 부류도 같습니다.말씨, 말씀, 말투가 그것이죠. 씨를 뿌리는 사람(말씨),기분 좋게 전하는 사람(말씀),말을 던지는 사람(말투)이 있는 것처럼 말에도 등급이 있습니다.  말씀..

설날 인사-發祥致福(발상치복),得意之秋(득의지추)

發祥致福(발상치복) 發-필 발            祥-상서 상 致-이를 치        福-복 복 ⁂ 상서롭고 길한 기운이 생겨 복이 들어온다 는 뜻으로 희망과 복이 가득하다        는 의미 ※ 乙巳年 새해에는 發祥致福의 기운으로 복 이 가득하고 희망이 넘치는 한해       가   되시길 소망합니다.   설 명절 동안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따뜻 한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乙巳年 元旦         南谷 李秉喜 拜上  得意之秋(득의지추)得-얻을 득           意-뜻 의之-갈 지               秋-가을 추 ⁂ 가을에 추수를 하듯 바라는 일이 비로소    이루어지는 좋은 시기를 뜻함 ※ 을사년 새해에는 得意之秋의 한 해가 되어   ..

門墻桃李(문장도리)-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門墻桃李(문장도리) 門 : 문 문           墻 : 담장 장桃 : 복숭아나무 도         李 : 오얏나무 리(이) #문장(門墻)은 가르침을 받으려고 스승의 집에 드나드는 스승의 #문하(門下)를 말하며, ​​#도리(桃李)는 학문을 가르친 스승이 길러낸 우수한 제자를 가리킨다.  ⁂ 스승이 길러낸 우수한 제자(弟子)나 그의 문하생(門下生)을 이르는 말. 유의어>桃李門前(도리문전) 桃李滿門(도리만문) 滿門桃李(만문도리) 桃李滿天下(도리만천하)

厚顔無恥(후안무치)-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厚顔無恥(후안무치) 厚 두터울 후        顔 낯 안 無 없을 무            恥 부끄러울 치  낯가죽이 두꺼워 뻔뻔하고 부끄러움을 모름자신의 잘못이나 부끄러운 행위에 대해 전혀 부끄러움을 느끼지 않고, 뻔뻔하게 행동하는 사람을 지칭합니다.사회적 규범이나 도덕적 기준을 무시하고,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는 태도를 나타냅니다.  후안무치의 사용 예시그의 후안무치한 행동에 모두가 놀랐다. (그의 뻔뻔한 행동에 주변 사람들이 놀랐음을 나타냅니다.)후안무치하게 거짓말을 하는 사람은 신뢰를 잃기 마련이다. (뻔뻔하게 거짓말을 하면 신뢰를 잃는다는 의미입니다.)그 정치인의 후안무치한 발언은 많은 이들의 비난을 받았다. (그 정치인의 뻔뻔한 발언이 비난을 받았음을 나타냅니다.)후안무치한 태도로 일관하는 ..

跳梁跋扈(도량발호)-차례대로 楷書,行書,隸書,篆書(小篆).金文

2024교수들이 뽑은 사자성어跳梁跋扈(도량발호)跳-뛸  도           梁-들보 량(양)跋-넘을   발     扈-통발 호 *跳梁-‘뛰어다니며 활동하다’는           뜻으로 통제되지 않은 행동을 뜻함*跋扈-자유롭게 날뛰며 제멋대로          행동하다는 의미 현대적 의미 현대 사회에서 부도덕한 행동,불법 적 권력 남용, 사회 갈등을 일으키 는 행위를 비유적으로 나타내는데 사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