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통과 맞먹는 '대상포진 통증'.."예방접종 하세요"

대상포진은 신경을 따라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주로 옆구리, 얼굴, 엉덩이 주변이다.
/사진= 클립아트코리아
대상포진은 산통과 비교될 만큼 아프다.
바늘로 찌르거나
살이 타는듯한 통증이 느껴진다.
한번 앓으면 다시 발생하기 쉽다.
이런 대상포진을
단 한번의 예방접종으로
50% 이상 예방할 수 있다.
혹여 발병해도 신경통처럼
고통스러운 후유증을 60% 정도 막는다.
이미 경험한 사람도
예방접종하면 재발률을 낮출 수 있다.
고려대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김양현 교수는
“예방접종은 현재 50대 이상에게 권하며,
대상포진이 나타나기 전에
미리 맞아두는 것이 좋다”며
“특히 가족 중 대상포진이 있다면
발병률이 높으니 추천한다”고 말했다.
이미 대상포진이 나타났다면,
치료가 끝난 후
12개월이 지난 후 접종한다.
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2018년 약 72만6000명이
대상포진으로 치료를 받았다.
주로 50대 이상 여성에게 가장 많이 발생한다.
최근에는 다이어트나
학업·취업 등의 스트레스와
불규칙한 생활습관 때문에
젊은 환자들도 증가하고 있다.
20~40대 환자도
전체의 33%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대상포진은 수두를 앓고 난 뒤
바이러스가 몸에 잠복해 있다가
면역력이 저하될 때 발병한다.
피부에 수포가 생기는데,
수포 없이 통증부터 시작되기도 한다.
신경절에 남아있던
바이러스가 일으킨 것으로,
신경을 따라 띠 모양으로 나타난다.
척추를 중심으로 좌측이나 우측에 생기거나
옆구리, 얼굴, 엉덩이 주변에 많다.
김양현 교수는
“대상포진은 조기 치료 여부에 따라
치료 기간을 수년에서
한달 정도로 줄일 수 있다”며
“증상이 시작된 후 72시간 내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고 말했다.
대상포진은 재발이 잦다.
특히 면역력이 약화된
65세 이상 노인의 재발률은
50% 이상으로 높다.
재발 위험군은 50세 이상,
여성, 항암치료나
자가면역질환 치료로
면역억제 상태인 환자,
당뇨병·고혈압·이상지질혈증 등 만성질환자다.
김양현 교수는
“발병 위험은 언제나 존재하니
평소 균형 잡힌 식습관,
충분한 수면 등
면역력을 잘 유지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말했다.
과로와 스트레스는 면역력을 약화시킨다.
규칙적으로 운동하고
취미생활이나 야외활동으로
스트레스를
그때그때 해소하면 도움된다.
'중요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 10명 중 4명, 당뇨병 전 단계… 예방 가이드라인 나왔다 (0) | 2025.02.20 |
---|---|
화장실 들어갔다 나오기만 했는데, 손 꼭 씻어야 할까? (0) | 2025.02.20 |
추운 날씨, 손발 혈액순환에 도움 되는 영양제 (0) | 2025.02.19 |
씻으면 안 되는 식품 Vs 씻어서 먹어야 하는 식품 (0) | 2025.02.16 |
잠드는데 30분 이상 걸린다면? 이 질환 조심 (연구)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