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걷기'만 해도 두드러진 몸의 변화
걷기는 가장 쉽고 안전한 운동 중의 하나다.
빠르게 걷기가 좋지만
산책 수준의 걷기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심장과 폐의 기능을 강화하고
혈압을 내리는 효과가 있다.
특히 고혈압은 심장병(협심증·심근경색),
뇌졸중(뇌출혈·뇌경색) 등
혈관질환의 최대 위험요인이다.
자주 걷기만 해도 몸의 변화가 뚜렷해진다.
◆ 혈압 높으면... 심장, 뇌 혈관에 이어 신장(콩밭)에도 나쁜 영향
혈압을 조절하지 않으면
심장, 뇌 혈관에 이어
신장에도 악영향을 미친다.
고혈압으로
신장(사구체) 안의 압력이 높아지면
신장 조직 및 혈관을 손상시킨다.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고,
단백뇨가 발생할 수 있다.
점점 악화되면
신경화증, 만성 콩팥병,
요독증 등으로 발전할 수 있다.
신장은 몸의 노폐물을 처리해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아주 중요한 기능을 한다.
신장 기능이 지나치게 떨어지면
평생 혈액 투석을 하거나
이식 수술을 받아야 한다.
신장은 일단 손상되면
원상태로 회복할 수 없다.
신장질환은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 3500보 이상 걸었더니... 신장 건강도 좋아져
최근 미국의사협회지(JAMA)에
하루 3500보 이상 걷는 사람들은
1500보 이하를 걷는 사람들에 비해
급격한 신장 기능 이상이 나타난 비율이
37% 낮았다는 논문이 실렸다.
신장 기능의 핵심인
사구체의 여과율(노폐물 처리 능력)이
꾸준한 걷기를 통해 좋아진 것이다.
규칙적인 걷기는 혈압을 낮추고
신장으로 가는 혈류를 늘려서
신장 기능을 올릴 수 있다.
원활한 피의 흐름을 통해
심장병, 뇌졸중을 예방하고
조절할 수 있다.
흔히 말하는 '만보 걷기'는
일본 업체의 상술에서
출발했다는 보도가 있었다.
혈류가 본격적으로 자극을 받는
3500~4000보 이상만 걸어도
건강에 큰 도움이 된다.
◆ 꾸준한 걷기... 고혈압약 한 개 정도 효과
고혈압에 오랜 기간 노출이 되면
몸속 미세혈관이 좁아지고
혈관벽이 두꺼워진다.
이후 혈관이 막히거나
출혈이 발생할 위험이 높다.
걷기, 속보, 조깅, 자전거 타기, 수영 등
유산소운동을 꾸준히 하면
혈압을 내릴 수 있다.
하루 30~60분씩
주 3~5회(90~150분) 이상 해야 한다.
운동 전후 준비·마무리 운동도 필요하다.
기구를 드는 근력 운동은
주 2회 정도 조심해서 해야 한다.
운동은 혈압약 한 개 정도의 효과가 있다.
고혈압 환자는 운동으로
복용 약의 용량을 줄일 수 있다.
◆ 운동과 함께 짠 음식 절제, 금연은 필수
혈압이 높은 사람이 생활습관을 개선하면
다른 심혈관 위험을
동시에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
한국인은 하루 평균 약 10g의 소금을 먹는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권고량 5g에 비해 높은 수준이다.
양념류(소금, 간장, 된장 등)나 절인 배추김치,
라면 스프 등을 절제하는 게 좋다.
흡연은 혈액 흐름, 혈관의 최대 적이다.
건강을 생각한다면 당장 끊어야 한다.
김용 기자 (ecok@kormedi.com)
'중요한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사의 힘을 빌리지 않고도건강하게 살 수 있는 방법 (1) | 2024.05.22 |
---|---|
자외선의 계절 여름...외출 전 '이때' 선크림 발라야 (0) | 2024.05.21 |
‘역대급 폭염’ 다가오는 올해, 열사병 피하려면? (0) | 2024.05.20 |
살도 빼고, 고지혈증 예방에도 좋은 습관 7 (0) | 2024.05.19 |
머리카락 건강하게 말리는 법 (0) | 2024.05.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