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약용이 1800년 정조의 소명을 받고 서울로 왔으나 실직을 얻지 못하여 고향 소내로 돌아가며 지은 시 古意(고의)【次劍南韻。】-(차검남운) 洌水流不息, 三角高無極。(열수유불식, 삼각고무극.)河山有遷變, 朋淫破無日。(하산유천변, 붕음파무일.)一夫作射工, 衆喙遞傳驛。(일부작사공, 중훼체전역.)詖邪旣得志, 正直安所宅。(피사기득지, 정직안소택.)孤鸞羽毛弱, 未堪受枳棘。(고란우모약, 미감수지극.)聊乘一帆風, 杳杳辭京國。(요승일범풍, 묘묘사경국.)放浪非敢慕, 濡滯諒無益。(방랑비감모, 유체양무익.)虎豹守天閽, 何繇達衷臆?(호표수천혼, 하유달충억?)古人有至訓, 鄕愿德之賊。(고인유지훈, 향원덕지적.) 고의【검남(劍南)시에 차운하다.】한강수 쉼없이 흐르고삼각산 아득히 높아라.산하는 변할지언정소인의 붕당은 깨부술 날 없구..